유튜버 면세사업자인가요? 과세사업자인가요?

유튜버는 콘텐츠 제작 방식과 사업 규모에 따라 면세사업자 또는 과세사업자로 등록 가능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둘의 구분과 각각의 신고 의무, 선택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BRIDGE[CODE]'s avatar
Jan 24, 2025
유튜버 면세사업자인가요? 과세사업자인가요?
 
최근 유튜버가 늘어나면서 많은 분들이 사업자 유형 선택에 고민이 있으실 것 같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유튜버의 면세사업자와 과세사업자 구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 

1. 사업자등록은 언제 해야 하나요?

  • 유튜브 등에서 계속적, 반복적으로 수익이 발생한다면, 사업 시작일로부터 20일 이내에 등록 필요합니다.
 

2. 면세사업자 vs 과세사업자, 어떤 유형으로 사업자등록이 가능한가요?

  • 면세사업자 (업종코드: 940306)
    • 혼자서 콘텐츠를 만드시나요?
    • 별도의 촬영 장비나 스튜디오 없이 작업하시나요?
    • 편집자나 시나리오 작가를 고용하지 않으시나요?
      • → 이런 경우 면세사업자로 등록이 가능합니다.
  • 과세사업자 (업종코드: 921505)
    • 편집자나 시나리오 작가를 고용하셨나요?
    • 전문 방송 장비나 스튜디오를 보유하셨나요?
      • →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과세사업자 등록이 필요합니다.
 

3. 신고의무는 어떻게 다른가요?

  • 면세사업자
    • 부가가치세 신고 없음
    • 매년 2월에 수입금액만 신고
    •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
  • 과세사업자
    • 1월/7월에 부가가치세 신고
    •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
    • 세금계산서 관리 필요
 

4. 어떤 유형을 선택해야 할까요?

  • 전문 장비 구입이나 인력 고용 계획이 있다면 과세사업자를 개인 창작 활동만 계획 중이라면 면세사업자를 추천드립니다.
  • 하지만 현재 사업 규모와 향후 계획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서 선택하셔야 합니다.
 
 
사업자 유형 선택이 어려우시다면,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각자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하실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.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 
Share article
Subscribe to our newsletter

기업 자금 관리 시간을 1/5로 줄입니다.